Warning: DOMDocument::load() [domdocument.load]: Entity 'plusmn' not defined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upload/xml/67010045.xml, line: 37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PubReader/class.pubreader.php on line 15

Warning: DOMDocument::load() [domdocument.load]: Entity 'plusmn' not defined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upload/xml/67010045.xml, line: 40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PubReader/class.pubreader.php on line 15

Warning: DOMDocument::load() [domdocument.load]: Entity 'plusmn' not defined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upload/xml/67010045.xml, line: 51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PubReader/class.pubreader.php on line 15

Warning: DOMDocument::load() [domdocument.load]: Entity 'plusmn' not defined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upload/xml/67010045.xml, line: 54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PubReader/class.pubreader.php on line 15

Warning: DOMDocument::load() [domdocument.load]: Entity 'plusmn' not defined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upload/xml/67010045.xml, line: 65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PubReader/class.pubreader.php on line 15

Warning: DOMDocument::load() [domdocument.load]: Entity 'plusmn' not defined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upload/xml/67010045.xml, line: 68 in /home/virtual/pediatrics/renewal/PubReader/class.pubreader.php on line 15
입위관이 영아의 삼킴에 미치는 영향

입위관이 영아의 삼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ogastric tube on swallowing in infants

(구연):
Release Date : 2017. 10. 27(금)
Kang Sung Min1,1,1, Kwon Kyoung Ah1,1,1 , Kim Myo-Jing1,1,1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Pediatrics1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2
강성민1,1,1, 권경아1,1,1 , 김묘징1,1,1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1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과교실2

Abstract

목적 영아에서 연하곤란이 생기는 원인은 다양하다. 경구 영양이 어려운 경우, 장관 영양을 위해 입위관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성인의 경우, 비위관 삽입 상태가 삼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따라서 성인은 비위관 삽입 여부와 관계없이 직접적인 삼킴 연습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입위관을 삽입한 환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어, 본 연구에서는 입위관이 영아의 삼킴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연하곤란으로 인해 입위관을 통해 식이를 하는 6개월 이하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들은 입위관 삽입 또는 제거 상태에서 각각 비디오 투시 연하 조영검사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test, VFSS) 를 시행하였다. 두 번의 VFSS 검사는 5분의 시간 간격을 두었다. 그리고 입위관 삽입과 제거 상태의 삼킴 기능을 서로 비교하였다. 측정지표들로는 VFSS를 통하여 한번의 삼킴이 일어나는데 필요한 흡입 횟수, 기능적 삼킴장애 척도(Functional Dysphagia Scale, FDS)에서 인두기(pharyngeal phase)의 지표를 각각 측정하였다. 흡인 유무는 침습-흡입 척도 (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환아들의 기본적인 출생력, 병력 및 과거력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0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미숙아 6명, 만삭아 4명이었다. 임신 주수는 평균 35.6±5.0주, 출생 체중 2,585.0±1,052.2g이었고, 검사 시행 시기는 생후 66.0±53.1일, 교정 나이 44.7±6.9주, 체중 3,692.0±1,161.7g이었다. 검사를 실시한 이유는 구강 빨기(poor sucking)를 잘 하지 못한 경우가 5명으로 가장 많았고, 흡인 의심 4명, 쉰 목소리 1명이었다. 검사 결과 입위관 제거 후, 삼킴이 일어나는데 필요한 흡입 횟수는 제거 전과 비교하였을 때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3.45±2.54 vs. 2.50±1.73, P=0.027). 그러나 기능적 삼킴장애 척도 및 침습-흡입 척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결론 입위관 삽입 및 제거에 따른 흡인 유무는 큰 변화가 없었다. 입위관 제거가 힘든 환아는 입위관이 삽입된 상태에서 VFSS 검사를 해도 괜찮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구강기의 문제로 경구영양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VFSS 검사에서 흡인이 없다면 입위관 삽입 상태로 직접적인 경구 수유 연습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swallowing, ,
  With OG-tube Without OG-tube p-value
Number of sucking 3.452.54       2.501.73   0.027 *
FDS 19.29.53 18.2011.01 0.141
PAS 5.603.16 5.93.81 0.655